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의 소개

An introduction to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s

Article information

Anesth Pain Med. 2016;11(4):420-420
Publication date (electronic) : 2016 October 31
doi : https://doi.org/10.17085/apm.2016.11.4.420
이동규
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마취통증의학과
Departmen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,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, Seoul, Korea

(Anesth Pain Med 2016; 11: 130-148)

Appendix에 포함된 standardized difference 사항을 아래와 같이 수정합니다.

Standardized difference 계산 과정(R code)은 다음과 같습니다.

> std.diff = apply(cov, 2, function(x) 100*(mean(x[treated]) - mean(x[!treated]))/(.5*(var(x[treated])+var(x[!treated]))))

계산 과정 중 100이 곱해진 부분을 삭제하여 다음과 같은 code가 사용되어야 합니다.

> std.diff = apply(cov, 2, function(x) (mean(x[treated]) - mean(x[!treated]))/(.5*(var(x[treated])+var(x[!treated]))))

이 결과에 따라 Table 2에 포함된 모든 공변량의 Standardized difference는 0.1 이하로 “matching 전에도 차이가 없다”라고 해석해야 합니다.

PSM 이후의 standardized difference를 구하는 code에도 ‘100*’는 삭제되어야 하며 해석은 “matching이후 두 군의 공변량에 차이는 감소하였다”라고 해석해야 합니다.

오류에 대해 사과드립니다.

Article information Continued